맑음
SEOUUL
JAYANGDONG
17
제목
내용
작성자
제목+내용
서치
로그인
마이페이지
로그아웃
회원가입
로그인
전체 메뉴
전체 메뉴
평창학연구소
평창지명연구
평창고지도총람
평창역사의정립
평창기행
평창학자료실
평창연표
평창뉴스
정치/경제
사회/문화
인구/노인/보건
농림축산어업
의회소식
읍면뉴스
평창읍
대관령면
진부면
봉평면
용평면
대화면
방림면
미탄면
커뮤니티
인물/동정
알림/모집
단체/모임
사회단체소식
건강위원회
라이온즈클럽
대한노인회
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
로타리클럽
번영회
새마을회
의용소방대
적십자회
청년회
강원뉴스
평창스토리
공연 행사
평창옛이야기
평창미식회
평창여행
기획/특집
오피니언
독자투고
커뮤니티
독자의 소리
평창학연구소
평창지명연구
평창고지도총람
평창역사의정립
평창기행
평창학자료실
평창연표
평창뉴스
정치/경제
사회/문화
인구/노인/보건
농림축산어업
의회소식
읍면뉴스
평창읍
대관령면
진부면
봉평면
용평면
대화면
방림면
미탄면
커뮤니티
인물/동정
알림/모집
단체/모임
사회단체소식
건강위원회
라이온즈클럽
대한노인회
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
로타리클럽
번영회
새마을회
의용소방대
적십자회
청년회
강원뉴스
평창스토리
공연 행사
평창옛이야기
평창미식회
평창여행
기획/특집
오피니언
독자투고
전체 기사
커뮤니티
독자의 소리
전체메뉴
전체기사보기
평창학연구소
평창뉴스
읍면뉴스
커뮤니티
사회단체소식
강원뉴스
평창스토리
기획/특집
오피니언
신문사소개
저작권정책
독자권익보호위원회
독자의 소리
이용약관
개인정보취급방침
청소년보호정책
이메일무단수집거부
로그인
마이페이지
로그아웃
서치
제목
내용
작성자
제목+내용
검색
초기화
Home
평창학연구소
평창기행
평창기행
다음
이전
평창기행
동정일록(東征日錄) (금강산 유람기중 평창부분 발췌)<東征日錄>
동정일록(東征日錄) (금강산 유람기중 평창부분 발췌)이병윤(李秉運) 나는 어릴 때 관동의 경치가 천하의 최고라는 소문을 듣고 일찍이 오매불망 그리워하였다. 근자에 고성 군수 류범휴(柳範休)[주 4091] 어르신이 동도주인(東都主人)이 된 일로 인해 더욱 명승을 유람할 염원을 갖게 되었다. 1796년(병진) 1월 24일 별
高 柱 浩
2021.10.31 15:07
평창기행
관동록( 평창부분 발췌)
관동록 - 이천상금강산은 동해(東海) 위에 있는데, 일명 개골(皆骨), 풍악(楓岳), 봉래(蓬萊)라고 한다. 중국에서 삼신산(三神山)이라고 부르는 것도 곧 그 가운데 하나이다. 진시황(秦始皇)이나 한 무제(漢武帝) 같은 중국 사람들이 바다 건너까지 사신을 보내 (불사의) 약을 구하고 신선을 만나 보려고 온갖 노력을 기울였
高 柱 浩
2021.10.19 16:35
평창기행
동정기(東征記) (금강산유람록 평창부분 발췌)
동정기(東征記) (금강산유람록 평창부분 발췌) 봉암(鳳巖) 채지홍(蔡之洪, 1683~1741) ▪일시 : 1740년 4월 1일~5월 10일 ▪동행 : 윤봉구(尹鳳九), 한원진(韓元震), 권정성(權定性) ▪일정 : 4월 1일~3일 : 청풍 황가 6일 : 주천-평창 약수역(藥水驛)-이현(梨峴)-방림(芳林) 7일 : 방림-대화
高 柱 浩
2021.10.11 12:03
평창기행
동유일기(東遊日記) <금강산유람록/ 평창부분 발췌>
동유일기(東遊日記) 성담(性潭) 송환기(宋煥箕) 송시열(宋時烈)의 5대손이다. 1779년 음보(蔭補)로 경연관(經筵官)이 되었으며, 이후 예조판서・공조판서・이조판서・의정부 우찬성 등을 지냈다. 성리학계의 심성(心性) 논쟁에서는 한원진(韓元震)의 주장을 지지하였으며, 학문과 덕행을 겸비하여 존경을 받았다. 저술로 성담집
高 柱 浩
2021.10.03 13:45
평창기행
동정일록(東征日錄) <금강산유람록/ 평창기행편>
동정일록(東征日錄) 면재(俛齋) 이병운(李秉運) * 이병운(李秉運, 1766-1841) ; 1797년(정조 21)에 음직(蔭職)으로 혜릉 참봉(惠陵參奉)에 제수되었고, 1809년 함창현감(咸昌縣監)을, 1820년에는 청안현감(淸安縣監) 등을 역임하였다. 저서로 면재집이 있다. *▪일시 : 1796년 2월 8일~3월 2
高 柱 浩
2021.10.02 11:39
평창기행
유금강소기(遊金剛小記) < 금강산 유람기/ 평창 기록 발췌>
유금강소기(遊金剛小記) 낙전당(樂全堂) 신익성(申翊聖) 이 자료의 번역은 한국문집총간 제93책에 실린 신익성의 『낙전당집(樂全堂集)』 권7 「유금강소기(遊金剛小記)」를 저본으로 삼았다. 이 저본은 1681년 간행된 것으로 규장각 장본(藏本)이다. ▪일시 : 1631년 ▪일정 : 관왕묘-도봉서원(3박)-철원-김화-단발령-장
高 柱 浩
2021.09.29 17:52
평창기행
오대산기 五臺山記
한계산(寒溪山) 동쪽이 설악산(雪嶽山)이고 설악산 남쪽이 오대산인데, 산이 높고 크며 골짜기가 깊어 산 기운이 최대로 쌓인 것이 다섯 개이므로 오대(五臺)라고 부른다. 최북단은 상왕산(象王山)인데 산이 매우 높고 험준하며, 정상은 비로봉(毗峯)이다. 그 동쪽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가 북대(北臺)인데 감로정(甘露井)이 있다
전형민
2021.09.28 21:34
평창기행
유풍악록(遊楓嶽錄) <금강산 유람기/평창기록>
[평창 유람기] 유풍악록(遊楓嶽錄) 중 평창기록◾여행개요 : 정기안(鄭基安)은 조화숙(趙和叔)과 함께 1742년 9월 2일 영리에서 출발하여 원주 남쪽의 오원역거쳐 3일에는 운교역에 도착하여 모노현을 넘어 진부역을 거쳐 월정사 등 오대산를 구경하고 대관령을 통하여 7일 강릉으로 넘어가 10일까지 금강산을 유람하였다. 이
高 柱 浩
2021.09.28 14:21
평창기행
풍악록 (楓嶽錄) <산수기행 ; 금강산 유람기/평창기록 >
풍악록 (楓嶽錄) 창곡(蒼谷) 이현영 (李顯英 ) ▪일시 : 1629 년 4 월 2 일 –윤 4 월 4 일 ▪동행 : 없음 . ▪일정 4/2 일 : 원주 –김화 (1 박 ) . 4/5 일 : 단발령 -철이령 -장안사(1박 ) 4/11 일 : 표훈사 -거빈굴 -지불암 -만경대 -길상암 -고원적암 (1 박 ) 4/17 일
高 柱 浩
2021.09.28 03:45
평창기행
동유록(東遊錄) <금강산 유람록/평창기록>
[금강산 유람록] 동유록(東遊錄) 이세구(李世龜)▪ 이세구의 동유록은 1691년 9월2일부터 10월 8일까지 관동지방의 사군(四郡)을 유람하고 남긴 기행록이다. 이 중에 현재의 평창군 지역을 유람한 것은 10월3일부터 10월 6일까지이다. 이를 발췌하여 수록한다. ▪ 이세구(李世龜, 1646-1700)의 자는 수옹(壽翁)
高 柱 浩
2021.09.24 16:40
평창기행
[평창여행기] 허목이 삼척부사로 있을 때 쓴 기행문(1661) 중 평창부분
대관령(大關嶺)을 넘으면 횡계역(橫溪驛)인데 날씨가 매우 추워서 오곡은 자라지 못하고 메밀만 심을 수 있다. 횡계역에서 30리를 내려가면 진부역(珍富驛)인데 그곳에서 월정(月井)까지 올라가면 15리이고, 그 아래는 청심대(淸心臺)이니 또 15리이다. 청심대는 청계(淸溪) 암벽 위에 있다. 서쪽으로 30리를 가면 대화역(
전형민
2021.08.27 10:53
평창기행
[평창여행기] 유몽인의 관동기행 2백운 ,1590년
어우당 유몽인(1559-1923)의 관동기행 2백운[관동록],(1590)에서 발췌한 평창부분 평창은 큰 산에 둘러싸였고 / 平昌圍巘嶽 화역(주: 대화역) 에는 마을이 드무네 / 和驛少村庄 종유석에서 기름진 액이 흐르고 / 鍾乳流膏液 공수반과 공수가 깎아 만든 듯하네 / 般倕逞斧斨 머리와 눈이 있는 사람을 보는 듯하고 /
전형민
2021.08.27 10:42
평창기행
[단원 김홍도의 금강사군첩중 오대산 그림중 평창]
[단원 김홍도의 금강사군첩중 오대산 그림] 平昌歷史定立 후세백작 2018.06.12 15:4 청심대 (淸心臺) 금강사군첩(金剛四郡帖) 1帖 1幅 청심대 단원 김홍도(檀園 金弘道) 1788년. 30 x 43.7 cm. 월정사(月精寺)
高 柱 浩
2021.08.23 02:57
1
내용
내용